State란? 변경 될 수 있는 값으로 예를 들어 쇼핑몰의 물건의 개수 || 구매 금액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알아야할 사전지식 비구조화 할당
쓰는 이유: 각 각 변수에 선언하는 대신에 이거를 배열 또는 객체의 모습으로 한 번에 해결 할 수 있음.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useState 를 사용 할 때에는 상태의 기본값을 파라미터로 넣어서 호출해줍니다.
이 함수를 호출해주면 배열이 반환되는데요,
여기서 첫번째 원소는 현재 상태, 두번째 원소는 Setter 함수입니다.
원래는 다음과 같이 해야하지만,
const numberState = useState(0);
const number = numberState[0];
const setNumber = numberState[1];
비구조화 할당 객체 예시
1.
const ironMan = { name: '토니 스타크', actor: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alias: '아이언맨' };
const captainAmerica = { name: '스티븐 로저스', actor: '크리스 에반스', alias: '캡틴 아메리카' };
function print({ alias, name, actor }) or {alias,name,actor} =hero
{ const text = `${alias}(${name}) 역할을 맡은 배우는 ${actor} 입니다.`;
console.log(text); }
print(ironMan);
print(captainAmerica);}
2.배열 분해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
let arr = ["JungHyun", "Lee"] let [firsName, surname] = arr; alert(firstName); //JungHyun alert(sername); //Lee //구조 분해 할당을 사용하지 않으면 밑에처럼 직접할당해야한다. // let [firsName, surname] = arr; let firstName = arr[0]; let surname = arr[1]; |
cs |
Input Tag 속성
type :모습
checked :어디에 표시를 하고 싶은지 설정 기본 값은 false로 되어있음
event.target.value: input 에 들어간 값을 불러오는 함수
const handleChecked = (event) => { setIsChecked(event.target.checked); };
'코드스테이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sures (0) | 2021.09.09 |
---|---|
props 의 이해 (0) | 2021.09.02 |
구조분해할당 (0) | 2021.08.17 |
코드스테이츠 리엑트 (0) | 2021.08.11 |
코드스테이츠 html의 또 다른 표현 방식 DOM!!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