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구조

Q의 이해 프린트 작업목록

문제


김코딩은 최근 인쇄할 일이 많이 생겨 창고에서 안 쓰던 프린터를 꺼냈습니다. 이 프린터의 성능을 테스트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장만할지 결정하려고 합니다. 김코딩은 프린터의 인쇄 작업 목록의 크기와 최대 용량을 가정하고 각기 다른 용량의 문서를 차례대로 인쇄하여 모든 문서가 인쇄되는데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테스트하기로 했습니다. 프린터 인쇄 작업 목록의 제한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한사항]

  • 인쇄 작업 목록은 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각 칸에는 한 개의 문서만 위치할 수 있습니다.
  • 문서는 1초에 한 칸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인쇄 작업 목록의 크기는 bufferSize이고 최대 용량 capacities 만큼 문서를 담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인쇄 작업 목록의 크기가 2이고 최대 용량이 10Kib라면 크기가 [7, 4, 5, 6] Kib인 문서들이 최단 시간 안에 순서대로 모두 인쇄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초가 지나면 인쇄 작업 목록에는 7Kib 크기의 문서가 추가됩니다.
  2. 2초일 때 인쇄 작업 목록의 최대 용량이 10Kib이기 때문에 4Kib 문서는 작업 목록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동시에 7Kib 문서는 작업 목록에서 1칸 앞으로 이동합니다.
  3. 3초일 때 7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서 나와 프린터가 인쇄합니다. 동시에 4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 추가됩니다.
  4. 4초일 때 4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서 1칸 앞으로 이동합니다. 동시에 5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 추가됩니다.
  5. 5초일 때 4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서 나와 프린터가 인쇄합니다. 동시에 5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서 1칸 앞으로 이동합니다. 최대 용량 10Kib 제한으로 6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으로 추가될 수 없습니다.
  6. 6초일 때 5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서 나와 프린터가 인쇄합니다. 동시에 6Kib 문서가 인쇄 작업 목록에 추가됩니다.
  7. 7초일 때 6Kib 문서는 인쇄 작업 목록에서 1칸 앞으로 이동합니다.
  8. 8초일 때 6Kib 문서가 마지막으로 인쇄됩니다.

위 예시에서와 같이 모든 문서가 출력되는데 걸리는 최소 시간은 8초가 걸립니다.

김코딩이 가지고 있는 프린터의 제한사항인 인쇄 작업 목록의 크기 bufferSize, 최대 용량 capacities가 주어집니다. 인쇄할 문서의 크기가 나열된 배열 documents가 모두 인쇄되는데 걸리는 최소 시간을 반환하는 솔루션을 만들어 주세요.

입력

인자1: bufferSize

  • Number 타입의 인쇄 작업 목록 크기

인자 2: capacities

  • Number 타입의 인쇄 작업 목록에 추가될 수 있는 최대 용량

인자 3: documents

  • 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문서 크기가 나열된 배열

출력

  • Number 타입을 리턴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 bufferSize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apacities는 100Kib 이하입니다.
  • 인쇄할 문서의 개수(배열의 길이) 1이상 100 이하입니다.
  • 문서 하나의 크기는 capacities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시

let bufferSize = 2; let capacities = 10; let documents = [7, 4, 5, 6]; let output = queuePrinter(bufferSize, capacities, documents); console.log(output) // 8

 

 

코드


function queuePrinter(bufferSize, capacities, documents)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이 변수의 크기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하게 됨(if, else)
  let totalBufferVolue =0
  let queue =[]
  //목적이기 때문에 중요
  let count=0
  //공간을 만들고
  for(let i=0; i<bufferSize; i++){

    queue.push(0)
  }
  //들어가는 문서를 정의: 변수 정의 및 이동경를 인지할 수 있음
  let currentDocument= documents.shift()

  //처음 이동이 일었났을 때 상황을 셋팅해보자
  queue.shift()
  queue.push(currentDocument)
  //그러면 총 볼륨이 변화하게 되고 이게 다음 상황에서 if문의 기준이 된다.
  
  totalBufferVolue =totalBufferVolue+currentDocument
  count++
  while(totalBufferVolue){

    //총 볼륨이 변화가 있나? 확인하기 위해 앞에 요소 제거
    totalBufferVolue=totalBufferVolue-queue.shift()
    //현재 들어가 변수 정의
    currentDocument=documents.shift()

      if(totalBufferVolue+currentDocument<=capacities){
        queue.push(currentDocument)
        totalBufferVolue=totalBufferVolue+currentDocument
      }else{
        documents.unshift(currentDocument)
        queue.push(0)
      }

      count++
  }

  return count

}

 

깨달은 점


1. 변화하고 이동하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정의하자

2. 조건문을 만드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정의하는게 좋다.

3. 변수 선언은 최대한 간결하고 무엇인지 알 수 있게 쓰자

4. 요소를 빼내거나 넣을 때는 기존 배열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라.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0) 2021.12.07
Tree 개념 이해하기  (0) 2021.10.26
Q의 이해 박스뽑기편  (0) 2021.10.16
스택의 이해 앞으로 가기 뒤로가기  (0) 2021.10.15
자료구조 기초 스텍 & 큐  (0) 2021.10.08